RoughlyKimdaeri
명절 가족 호칭 본문
남편 | |||
형 | 아주버님 | 아내 | 형님 |
남동생 | 도련님 ( 미혼 ) 서방님 ( 기혼 ) |
아내 | 동서 |
누나 | 형님 | 남편 | 아주버님 또는 서방님 |
여동생 | 아가씨 | 남편 | 서방님 |
아내 | |||
오빠 | 형님 처남 ( 어리면 ) |
아내 | 아주머니 ( 남에겐 처남댁 ) |
남동생 | 처남 | 아내 | 처남댁 |
언니 | 처형 | 남편 | 형님 동성 ( 어리면 ) |
여동생 | 처제 | 남편 | 동서 또는 O서방 |
“명절에 시‘댁’에 가서 ‘도련님’,‘아가씨’ 할 때마다 조선시대 사극에 나오는 몸종이 된 것 같은 느낌이 들어 민망합니다.남편처럼 저도 부남,부제라고 하고 싶네요”(여성 누리꾼)
“도련님,서방님 소리가 존칭이라고 별로 생각하지 않습니다.단순히 호칭일 뿐이지요.처남,처제도 하대하는 표현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지칭어일 뿐이지요.”(남성 누리꾼)
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국민생각함에 ‘가족 호칭의 비대칭성’에 대한 주제로 글이 올라오자 달린 누리꾼들의 댓글이다.위에 소개한 여성 누리꾼 의견은 가장 많은 공감을 얻기도 했다.기존의 가족 호칭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은 계속돼 왔다.여성가족부가 올해 초 실시한 온라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6.3%가 가족호칭에 문제가 있다고 답했다.여성가족부는 제3차 건강가정기본계획 시행 과제 중 하나로 ‘성비대칭적 가족호칭 개선’을 선정,개선작업에 나서기도 했다.가족 호칭 개선이 정부차원에서 논의하는 사회적 쟁점이 된 것이다.
친인척 호칭 자체가 많고 복잡한 것은 둘째치고 남성 중심으로 붙여진 경우들이 많다.‘친가’는 친할 친(親) 자,외가는 바깥·타인이라는 의미의 외(外)자를 써서 구분하는 것을 비롯해 시댁은 ‘댁’으로 높여부르고,처가는 ‘가’로 부르는 것에서 차별을 느낄 수 있는만큼 양쪽 모두 ‘시가’와 ‘처가’,혹은 ‘시댁’과 ‘처댁’으로 통일해서 부르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장인어른·장모님이나 시아버님·시어머님 대신 양가 부모님 모두 ‘어머님·아버님’으로 통일하자는 개선안도 제기됐다.또 남편의 동생을 부를 때 쓰는 도련님이나 아가씨,남동생의 아내를 부르는 올케 보다는 ‘OO씨’처럼 직접 이름을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제안도 꾸준히 나온다.
출처 : 강원도민일보(http://www.kado.net)
'일상_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제 사례로 만들어진 중국 안전 교육 영상 (0) | 2022.12.22 |
---|---|
크리스마스 영화 추천 (0) | 2022.12.21 |
연못 물을 마시면 안되는 이유 (0) | 2022.12.21 |
안지만 망언 (0) | 2022.12.18 |
미드 추천 ] 정말 재밌는 스릴러 하퍼스 아일랜드 (0) | 2022.12.18 |